196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1964년 11월 3일에 치러졌으며, 민주당이 압승을 거두었다. 민주당은 295석을 확보하여 67.8%의 의석 점유율을 기록했고, 공화당은 140석을 얻어 32.2%를 차지했다. 민주당은 57.1%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공화당은 42.4%를 득표했다. 선거 결과는 린든 B. 존슨 행정부의 정책 추진력을 강화했으며, 딥 사우스 지역에서 공화당의 약진을 보여주는 등 미국 정치 지형 변화의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4년 미국 - 통킹만 결의
통킹만 결의는 1964년 통킹만 사건을 계기로 미국 대통령에게 동남아시아에서 미국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광범위한 권한을 부여하여 베트남 전쟁에 대한 군사적 개입을 확대하는 법적 근거가 되었으나, 논란 속에 1971년 폐지되었다. - 1964년 미국 - 통킹만 사건
통킹만 사건은 1964년 북베트남 해안에서 발생한 미 해군 구축함 공격 주장을 둘러싼 사건으로,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 본격 개입하는 계기가 되었으나, 이후 조작 의혹이 제기되었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5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50년-1851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민주당이 127석으로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으며, 휘그당, 입헌통일당, 자유토지당, 주권당, 무소속 의원들이 선출되었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위스콘신 준주의 주 승격으로 하원 의석이 증가한 첫 선거로, 휘그당이 근소하게 승리했으며, 텍사스와 아이오와 주의 신설로 의석이 증가하는 등 의회의 정치적 역학 관계에 변화를 가져왔다.
196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 |
---|---|
선거 정보 | |
선거 이름 | 1964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
국가 | 미국 |
선거 유형 | 입법부 |
이전 선거 | 1962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962 |
선거 날짜 | 1964년 11월 3일 |
다음 선거 | 1966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1966 |
선출 의석수 | 미국 하원의 모든 435석 |
과반수 의석수 | 218 |
주요 정당 | |
정당 1 | 민주당 |
정당 1 대표 | 존 맥코맥 |
정당 1 대표 임기 시작 | 1962년 1월 10일 |
정당 1 이전 선거 결과 | "259"석 |
정당 1 의석수 | 295 |
정당 1 의석 변동 | 36석 |
정당 1 득표수 | 37,643,960 |
정당 1 득표율 | 57.1% |
정당 1 득표율 변동 | 4.7% |
정당 2 | 공화당 |
정당 2 대표 | 찰스 할렉 |
정당 2 대표 임기 시작 | 1959년 1월 3일 |
정당 2 이전 선거 결과 | "176"석 |
정당 2 의석수 | 140 |
정당 2 의석 변동 | 36석 |
정당 2 득표수 | 27,916,576 |
정당 2 득표율 | 42.4% |
정당 2 득표율 변동 | 4.7% |
지도 | |
![]() | |
의장 | |
선거 전 의장 | 존 맥코맥 |
선거 전 의장 소속 정당 | 민주당 |
선거 후 의장 | 존 맥코맥 |
선거 후 의장 소속 정당 | 민주당 |
2. 선거 배경
2. 1. 사회적 배경
2. 2. 정치적 배경
3. 선거 결과
397명의 현직 의원이 재선을 노렸으나, 예비 선거에서 8명이 패배했고, 본선거에서 45명이 패배하여 총 344명의 현직 의원이 승리했다.
295 | 140 |
민주당 | 공화당 |
'''1964년 11월 3일 선거 결과 요약'''
정당 | 의석 | 유효 득표 | ||||||
---|---|---|---|---|---|---|---|---|
1962년 | 1964년 | 변동 | 점유율 | 득표수 | % | 변동 | ||
민주당 | 259 | 295 | 36 | 67.8% | 37,643,960 | 57.1% | 4.7% | |
공화당 | 176 | 140 | 36 | 32.2% | 27,916,576 | 42.4% | 4.7% | |
자유당 | 0 | 0 | - | 132,497 | 0.2% | |||
무소속 | 0 | 0 | - | 115,403 | 0.2% | |||
보수당 | 0 | 0 | - | 45,665 | 0.1% | 0.1% | ||
사회주의노동자당 | 0 | 0 | - | 3,710 | <0.1% | |||
United Taxpayers Party | 0 | 0 | - | 2,429 | <0.1% | |||
금주당 | 0 | 0 | - | 2,238 | <0.1% | |||
국가주권당 | 0 | 0 | - | 644 | <0.1% | |||
사회주의노동당 | 0 | 0 | - | 76 | <0.1% | |||
기타 | 0 | 0 | - | 15,988 | <0.1% | |||
합계 | 435 | 435 | —— | 100.0% | 65,879,186 | 100.0% | —— | |
출처: [http://history.house.gov/Institution/Election-Statistics/Election-Statistics/ 선거 통계 - 사무국] |
3. 1. 정당별 의석 변화
196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은 295석, 공화당은 140석을 획득했다. 민주당은 1962년 선거에 비해 36석을 더 얻었고, 공화당은 36석을 잃었다.정당 | 1962년 | 1964년 | 변동 | 점유율 | 득표수 | 득표율 | 변동 | |
---|---|---|---|---|---|---|---|---|
민주당 | 259 | 295 | 36 | 67.8% | 37,643,960 | 57.1% | 4.7% | |
공화당 | 176 | 140 | 36 | 32.2% | 27,916,576 | 42.4% | 4.7% | |
자유당 | 0 | 0 | - | 132,497 | 0.2% | |||
무소속 | 0 | 0 | - | 115,403 | 0.2% | |||
보수당 | 0 | 0 | - | 45,665 | 0.1% | 0.1% | ||
사회주의노동자당 | 0 | 0 | - | 3,710 | <0.1% | |||
United Taxpayers Party | 0 | 0 | - | 2,429 | <0.1% | |||
금주당 | 0 | 0 | - | 2,238 | <0.1% | |||
국가주권당 | 0 | 0 | - | 644 | <0.1% | |||
사회주의노동당 | 0 | 0 | - | 76 | <0.1% | |||
기타 | 0 | 0 | - | 15,988 | <0.1% | |||
합계 | 435 | 435 | —— | 100.0% | 65,879,186 | 100.0% | —— |
민주당은 57.1%의 득표율을, 공화당은 42.4%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그 외 자유당, 무소속, 보수당, 사회주의노동자당 등도 득표를 기록했다.
3. 2. 주요 정당 및 후보
196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는 민주당과 공화당이 주요 정당으로 참여했다. 민주당은 린든 B. 존슨 대통령의 '위대한 사회' 정책을 지지하며 사회 복지 확대와 경제 성장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반면, 공화당은 배리 골드워터 후보를 중심으로 보수적 가치를 강조하며 정부 개입 축소와 강력한 국방 정책을 주장했다.정당 | 의석수 | 득표수 | 득표율 |
---|---|---|---|
민주당 | 295석 | 37,643,960 | 57.1% |
공화당 | 140석 | 27,916,576 | 42.4% |
뉴욕자유당 | 132,497 | 0.2% | |
보수당 | 45,665 | 0.1% | |
사회주의 노동자당 | 3,710 | 0.006% | |
기타 | 21,375 | 0.03% | |
무소속 | 115,403 | 0.2% | |
총합 | 435석 | 65,879,186 | 100% |
3. 3. 득표율
wikitext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민주당 | 37,643,960 | 57.1% |
공화당 | 27,916,576 | 42.4% |
뉴욕자유당 | 132,497 | 0.2% |
보수당 | 45,665 | 0.1% |
사회주의 노동자당 | 3,710 | 0.006% |
기타 | 21,375 | 0.03% |
무소속 | 115,403 | 0.2% |
총합 | 65,879,186 | 100.0% |
196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은 37,643,960표(57.1%)를 득표하였고, 공화당은 27,916,576표(42.4%)를 득표하였다. 그 외 뉴욕자유당은 132,497표(0.2%), 보수당은 45,665표(0.1%), 사회주의 노동자당은 3,710표(0.006%), 기타 정당 및 무소속 후보들은 총 136,778표(0.23%)를 획득했다.
4. 주요 선거구 및 결과
4. 1. 캘리포니아 제5선거구
1964년 캘리포니아주 연방 하원의원 선거에서 제5선거구는 존 F. 셸리가 사임하면서 공석이 되었다. 이에 따라 치러진 특별 선거에서 필립 버튼이 승리하여 민주당 의석을 유지했다. 필립 버튼은 이어진 196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무투표로 당선되어 재선에 성공했다.4. 2. 앨라배마
앨라배마주는 1962년에 모든 의원을 전원 선거로 선출했지만, 1964년에는 지구 선거로 복귀했다.[1] 재건 시대 이후 처음으로 공화당이 5석을 획득하는 이변이 일어났는데, 이는 딥 사우스에서 공화당 지지세가 확산되는 신호로 해석되었다.모빌 인근의 제1 지구는 현직 의원이 없는 신설 지역구였으며, 잭 에드워즈가 당선되었다.[1] 제2 지구에서는 윌리엄 L. 디킨슨이 현직 조지 M. 그랜트를 꺾고 당선되었다.[1] 제3 지구에서는 조지 W. 앤드루스가 무투표로 재선되었다.[1] 제4 지구에서는 글렌 앤드루스가 현직 케네스 A. 로버츠를 꺾고 승리했다.[1] 제5 지구에서는 아미스테드 I. 셀든 주니어가 재선에 성공했다.[1] 제6 지구에서는 존 H. 뷰캐넌 주니어가 현직 조지 허들스턴 주니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1] 제7 지구에서는 제임스 D. 마틴이 조지 C. 호킨스를 꺾고 당선되었으며, 같은 선거구의 칼 엘리엇은 재지명에 실패했다.[1] 제8 지구에서는 로버트 E. 존스 주니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1]
4. 3. 기타 지역구
196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은 대부분의 지역구에서 현역 의원들이 재선에 성공하거나 공화당 의석을 탈환하며 압승을 거두었다.알래스카주에서는 민주당 랄프 리버스 의원이 51.5%의 득표율로 공화당 로웰 토마스 주니어를 누르고 재선에 성공했다. 애리조나주에서는 1선거구에서 공화당 존 제이콥 로즈 의원이, 2선거구에서 민주당 모 유달 의원이, 3선거구에서 민주당 조지 F. 세너 주니어 의원이 각각 재선되었다. 아칸소주에서는 1, 2, 4선거구에서 민주당 에제키엘 C. 게이싱스, 윌버 밀스, 오렌 해리스 의원이 무투표 당선되었고, 3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제임스 윌리엄 트림블 의원이 공화당 J. E. 힌쇼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캘리포니아주에서는 민주당이 38석 중 21석을 차지하며 강세를 보였다. 특히 27선거구에서는 민주당에서 공화당으로 당적을 옮긴 에버렛 G. 버크홀터 의원이 은퇴하고, 공화당 에드윈 라이네케 후보가 당선되며 공화당이 의석을 탈환했다. 38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존 V. 터니 후보가 현역 공화당 패트릭 M. 마틴 의원을 꺾고 당선되었다. 콜로라도주에서는 민주당이 2, 3선거구에서 공화당 현역 의원을 꺾고 승리하며 의석을 추가했다. 코네티컷주에서는 4선거구에서 민주당 도널드 J. 어윈 후보가 현역 공화당 애브너 W. 시발 의원을 누르고 당선되었다. 델라웨어주에서는 민주당 해리스 맥도웰 의원이 재선에 성공했다.
플로리다주에서는 민주당이 12석 중 10석을 차지하며 우위를 지켰다. 조지아주에서는 민주당이 10석 중 8석을 차지했으나, 3선거구에서 공화당 보 캘러웨이 후보가 민주당 현역 의원을 꺾고 당선되며 공화당이 1석을 추가했다. 하와이주에서는 민주당 스파크 마쓰나가 의원과 패치 밍크 의원이 각각 재선과 당선에 성공했다. 아이다호주에서는 2선거구에서 공화당 조지 V. 한센 후보가 민주당 현역 의원을 꺾고 당선되었다.
일리노이주에서는 민주당이 19선거구에서 공화당 현역 의원을 꺾고 승리하며 1석을 추가했다. 인디애나주에서는 민주당이 9, 11선거구에서 공화당 현역 의원을 꺾고 승리하며 2석을 추가했다. 아이오와주에서는 민주당이 1, 2, 4, 6, 7선거구에서 공화당 현역 의원을 꺾거나 은퇴한 의석을 차지하며 5석을 추가했다. 캔자스주에서는 2선거구에서 공화당 체스터 L. 마이즈 후보가 민주당 존 몽고메리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켄터키주에서는 3선거구에서 민주당 찰스 R. 팜슬리 후보가 현역 공화당 진 스나이더 의원을 꺾고 당선되었다.
루이지애나주에서는 민주당이 8석 모두를 차지했다. 메인주에서는 2선거구에서 민주당 윌리엄 하서웨이 후보가 공화당 현역 의원을 꺾고 당선되었다. 메릴랜드주에서는 민주당이 5선거구에서 현역 의원 은퇴로 공석이 된 자리를 차지하며 1석을 추가했다. 매사추세츠주에서는 민주당과 공화당이 각각 6석씩 나눠 가졌다. 미시간주에서는 민주당이 2, 3, 7, 11, 15, 16선거구에서 승리하며 6석을 추가했다. 미네소타주에서는 민주당과 공화당이 각각 4석씩 나눠 가졌다.
미시시피주에서는 4선거구에서 공화당 프렌티스 워커 후보가 현역 민주당 의원을 꺾고 당선되며 1석을 추가했다. 미주리주에서는 민주당이 10석 중 9석을 차지했다. 몬태나주에서는 1선거구에서 민주당 아놀드 올슨 의원이 재선되었고, 2선거구에서는 공화당 제임스 F. 배틴 의원이 재선되었다. 네브래스카주에서는 1선거구에서 민주당 클레어 A. 캘런 후보가 현역 공화당 의원을 꺾고 당선되었다. 네바다주에서는 민주당 월터 S. 베어링 주니어 의원이 재선되었다. 뉴햄프셔주에서는 1선거구에서 민주당 J. 올리바 후오트 후보가 현역 공화당 의원을 꺾고 당선되었다.
뉴저지주에서는 민주당이 2, 3, 9, 12선거구에서 승리하며 4석을 추가했다. 뉴멕시코주에서는 민주당 토머스 G. 모리스 의원과 E. S. 조니 워커 의원이 각각 재선과 당선에 성공했다. 뉴욕주에서는 민주당이 3, 5, 25, 27, 28, 34, 39선거구에서 승리하며 7석을 추가했다.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는 민주당이 11석 중 9석을 차지했다. 노스다코타주에서는 2선거구에서 민주-NPL당 롤랜드 W. 레들린 후보가 현역 공화당 의원을 꺾고 당선되었다.
오하이오주에서는 민주당이 1, 3, 10, 24선거구에서 승리하며 4석을 추가했다. 오클라호마주에서는 민주당이 6석 중 5석을 차지했다. 오리건주에서는 민주당이 4석 모두를 차지했다. 펜실베이니아주에서는 민주당이 19, 24선거구에서 승리하며 2석을 추가했다. 로드아일랜드주에서는 민주당이 2석 모두를 차지했다.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서는 민주당이 6석 모두를 차지했다. 사우스다코타주에서는 공화당이 2석 모두를 차지했다.
테네시주에서는 민주당이 9석 중 6석을 차지했다. 텍사스주에서는 민주당이 23석 중 20석을 차지했다. 유타주에서는 2선거구에서 민주당 데이비드 S. 킹 후보가 당선되며 1석을 추가했다. 버몬트주에서는 공화당 로버트 스태포드 의원이 재선되었다. 버지니아주에서는 민주당이 3선거구에서 현역 의원 은퇴로 공석이 된 자리를 차지하며 1석을 추가했다. 워싱턴주에서는 민주당이 2, 5, 6, 7선거구에서 승리하며 4석을 추가했다. 웨스트버지니아주에서는 민주당이 5석 모두를 차지했다. 위스콘신주에서는 민주당이 1, 6선거구에서 승리하며 2석을 추가했다. 와이오밍주에서는 민주당 테노 론칼리오 후보가 현역 공화당 의원을 꺾고 당선되었다.
5. 선거의 영향 및 의의
5. 1. 린든 B. 존슨 행정부의 정책 추진력 강화
5. 2. 미국 정치 지형의 변화
196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공화당은 전국적으로 부진했지만, 딥 사우스에서는 배리 골드워터의 선전에 힘입어 여러 명의 하원의원을 당선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들 중 다수는 재건 이후 처음으로 당선된 공화당 의원들이었다."골드워터 공화당원"으로 불린 이들은 글렌 앤드류스(앨라배마 4구), 존 H. 뷰캐넌 주니어(앨라배마 6구), 보 캘러웨이(조지아 3구), 윌리엄 L. 디킨슨(앨라배마 2구), 잭 에드워즈(앨라배마 1구), 제임스 D. 마틴(앨라배마 7구), 프렌티스 워커(미시시피 4구), 앨버트 왓슨(사우스캐롤라이나 2구) 등이다. 앨버트 왓슨은 민주당으로 당선되었으나 이후 사임하고 보궐선거에서 공화당원으로 당선되었다.
이러한 딥 사우스에서의 공화당 약진은 미국 정치 지형의 변화를 예고하는 사건이었다.
5. 3. 한국에 미친 영향
6. 특별 선거
1964년에 여러 특별 선거가 실시되어 임기 중 사임하거나 사망한 의원들의 공석을 채웠다. 캘리포니아, 테네시, 펜실베이니아, 미주리, 오리건, 사우스캐롤라이나 등에서 특별 선거가 실시되었다.
- 캘리포니아 제5선거구: 존 F. 셸리 의원(민주당)이 샌프란시스코 시장으로 취임하면서 1964년 1월 7일 사임하여, 1964년 2월 18일에 특별 선거가 실시되었다. 필립 버튼(민주당)이 53.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테네시 제2선거구: 하워드 베이커 시니어 의원(공화당)이 1964년 1월 7일 사망하여, 1964년 3월 10일에 특별 선거가 실시되었다. 그의 부인 아이린 베이커(공화당)가 55.5%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남편의 잔여 임기를 채웠다.
- 펜실베이니아 제5선거구: 윌리엄 J. 그린 주니어 의원(민주당)이 1963년 12월 21일 사망하여, 1964년 4월 28일에 특별 선거가 실시되었다. 그의 아들 윌리엄 J. 그린 3세(민주당)가 58.6%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아버지의 잔여 임기를 채웠다.
- 미주리 제9선거구: 클래런스 캐논 의원(민주당)이 1964년 5월 12일 사망하여, 1964년 11월 3일에 특별 선거가 실시되었다. 윌리엄 L. 헝게이트(민주당)가 62.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오리건 제1선거구: A. 월터 노블라드 의원(공화당)이 1964년 9월 20일 사망하여, 1964년 11월 3일에 특별 선거가 실시되었다. 웬델 와이어트(공화당)가 52.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사우스캐롤라이나 제5선거구: 로버트 W. 헴필 의원(민주당)이 1964년 5월 1일 사임하여, 1964년 11월 3일에 특별 선거가 실시되었다. 토마스 S. 게티스(민주당)가 66.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대부분 민주당이 의석을 유지했지만, 테네시 제2선거구에서는 공화당이 승리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